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역류성 식도염이 있을 때 피해야 하는 음식

by 라이즈업온온 2022. 9. 4.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했을 때 정확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재발 빈도가 많은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원인과 재발하는 이유, 그리고 악화하는 이유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 약 역시 중요하지만, 먹지 않아야 하는 음식을 피하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피해야 할 음식 : 자극적인 음식, 카페인 음료 및 식품, 탄산음료

가장 먼저, 자극적인 음식 종류를 피해야 합니다. 자극적인 음식이란 맵고 짜고 신 맛이 나는 음식입니다. 위를 자극하고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도록 만드는 음식이기 때문입니다. 위산이 많이 분비되면 식도로 넘어와서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합니다. 청양고추와 같이 맵거나 젓갈과 같이 짠 음식이나 반찬, 레몬이나 라임과 같은 산성 수치가 높은 음식을 많이 먹게 되면 역류성 식도염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매일 먹는 반찬 중에는 고추와 김치가 있는데, 이 정도의 맵기에도 위산이 역류하는 증상이 보인다면 주의해야 합니다. 귤이나 오렌지와 같은 과일을 먹어보고 식도염 증상이 없다면 먹어도 괜찮지만, 사람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자기의 현재 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그리고, 카페인 음료나 식품을 피해야 합니다. 커피와 녹차, 홍차와 같은 음료와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 초콜릿이 있습니다. 카페인 물질은 위산의 분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위산 과다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대인은 오전 공복에 커피를 마시는 경우가 많은데 건강에는 좋지 않습니다. 위 속에 음식물이 없는 상태에서 커피를 마신다면 위산의 농도는 높아지고 산성 수치 역시 상승하게 됩니다. 증상이 더욱 심해질 경우에는 식도와 위점막까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콜라와 탄산수 같은 탄산음료를 피해야 합니다. 탄산음료는 이산화탄소를 생성합니다. 이산화탄소의 특성은 위로 뜨는 성질을 지녔습니다. 이산화탄소 물질이 식도를 빠져나가면서 위산과 함께 역류하게 됩니다.

피해야 할 음식 : 글루텐이 포함된 음식, 술, 기름진 음식, 당분이 많은 과일

글루텐이 함유된 음식을 피해야 합니다. 글루텐은 밀가루를 반죽할 때 생기는 불용성 물질입니다. 물에 녹지 않은 성분의 단백질이며, 밀가루와 함께 보리, 호밀 종류에도 많은 양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음식에 사용할 때 점성과 끈기를 생기게 하여서 요리에 도움이 되지만, 우리 몸 안으로 들어오면 분해되지 않고, 위점막을 자극하여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될 수 있게 합니다. 글루텐이 많이 포함된 음식은 밀가루를 주요 재료로 사용하는 과자 종류, 빵, 라면과 같은 식품들이 있습니다. 간장이나 카레, 고추장 및 된장과 같은 가공 숙성 식품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햄이나 소시지와 같은 가공된 육류 식품에도 글루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평소에 음식이나 식품을 먹을 때 원재료 이름이나 성분표를 살펴보고 글루텐 프리, 또는 글루텐의 함량이 낮은 식품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에서 판매하는 조선간장과 통곡물은 글루텐이 거의 없고, 가공하지 않은 과일 및 채소, 고기, 생선, 콩 종류에는 글루텐이 없습니다. 술을 먹는 것은 역류성 식도염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술을 먹게 되면 하부 식도의 괄약근 기능이 저하됩니다. 식도 입구를 정확하게 닫는 수문 역할을 하지 못하게 만들어서 식도로 역류가 됩니다. 맥주에는 탄산 성분, 와인에는 타닌 성분이 많이 들어 있습니다. 기름기가 많거나 튀긴 음식 역시 하부 식도의 괄약근 기능을 저하합니다. 최소량으로만 먹는 것이 건강에 좋습니다. 식사를 마치고 먹는 과일 중에서 당분이 많다면 피해야 합니다. 당분이 많은 과일을 먹게 되면 체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 과정을 거쳐서 가스를 생성하게 됩니다. 그래서 복부 팽만 현상이 발생하고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식사를 마치고 먹는 과일은 당분 지수와 당부하 지수가 낮은 종류를 먹는 것이 좋습니다. 딸기와 같은 과일이 있습니다. 단맛이 많은 과일이거나 연질의 부드러운 과일은 피하는 것이 좋고, 표면이 거칠거나 수분 함량이 높은 과일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피해야 하는 음식을 아는 것이 중요하지만, 현재 자기가 무엇을 얼마나 먹고 있는지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면 피해야 할 음식을 생각보다 많이 먹고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밀한 원인 파악이 매우 중요합니다.

댓글